반응형
<트리클 다운의 뜻과 개념>
"부는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한다"
트리클 다운이라는 경제학 용어는 트리클 다운 효과라고도 합니다.
트리클 다운이라는 용어를 쉽게 풀어서 보자면 '흘러내린 물이 바닥을 적신다'라는 뜻으로 풀어 볼 수 있습니다.
넘쳐흐르는 물이 바닥을 고루 적시는 것처럼 정부가 투자를 늘려 대기업과 부유층의 부를 먼저 늘려주면 중소기업과 저소득층에게도 혜택이 골고루 돌아가 결국 경기가 활성화되어 경제발전과 국민복지도 덩달아 향상된다는 뜻입니다.
트리클 다운 정책을 처음으로 채택하여 실시하였던 나라는 바로 미국입니다.미국 41대 대통령인 조지 부시가 재임 중인 1989년부터 1992년까지 실시했던 정책입니다.그러나 이정책은 다음 해인 1993년 빌 클린턴이 취임하면서 폐지되었습니다.미국 정부가 대기업과 부유층에게 혜택을 많이 제공했지만 당초 생각만큼 중소기업과 저소득층에게 큰 도움을 주지 못하였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경제 5개년 계획이 트리클 다운 이론에 기초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과거에는 고도성장의 열매가 시간이 흐르면서 저소득층에게까지 전파되는 트리클 다운 효과가 나타났지만 현재에는 세계화와 정보화 진전 등으로 성장의 열매가 일부 고소득층에게만 돌아가고 있다는 지적이 많이 나옵니다.
실제로 연구결과에 의하면 경제성장 자체만으로는 소득분배 구조는 개선되지 않으며 오히려 악화된다고 합니다.경제성장은 파이의 크기는 키우지만 그 자체만으로는 파이의 분배로 이어지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경제정보 > 돈 버는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설 , 알더퍼의 ERG이론 간단정리 !!! (0) | 2021.11.22 |
---|---|
고정환율제도 변동환율제도의 뜻과 개념 (0) | 2021.11.18 |
경상수지 자본수지의 뜻과 종류 (0) | 2021.11.11 |
경제학 관련 절대우위 비교우위의 차이점 비교 !! (0) | 2021.11.10 |
콜금리 고정금리 변동금리의 개념과 차이점 (0) | 2021.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