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정보/돈 버는 공부

고정환율제도 변동환율제도의 뜻과 개념

반응형

<고정환율제도와 변동환율제도>

 

 

1. 고정환율제도

 

고정환율제도란 정부가 환율을 일정 범위 내로 고정시켜 환율을 안정시키려는 목적의 제도입니다.

금이나 은으로 교환이 될 수 있는 화폐를 사용하는 금본위 제도가 전형적인 예입니다.

 

 

2. 변동환율제도

 

변동환율제도란 정부가 환율 결정에 개입하지 않고 외환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서 환율이 자유롭게 결정이 되는 제도입니다.

 

 

3. 고정환율제도와 변동환율제도

 

고정환율제도는 1970년대 초 스미소니언 체제를 거치면서 주요 통화가 변동환율제도로 변화되면서 붕괴되었습니다.

그 후, 대부분의 국가들은 정부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자국 화폐의 환율 결정을 규제하는 관리 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외환보유고란?

 

외환보유고란 한 나라의 통화당국이 대외지급 준비자산으로 보유하는 외화자산입니다.

 

외환보유고는 금, SDR, IMF포지션, 달러를 비롯한 주요국 통화로 구성됩니다.

 

SDR이란 IMF의 특별 인출권으로 IMF가맹국들이 국제수지가 악화되었을 때 IMF로부터 무담보로 외화를 인출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IMF포지션이란 IMF가맹국이 조건 없이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는 한도액을 말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