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기심리지표의 개념과 특성>
1. 기업실사지수 (BSI)
경기 종합지수 등이 기존의 경제 관련 지표들을 가공하여 간접적으로 산출하는데 반해 기업실사지수는 기업활동의 실적, 계획 및 경기동향에 관한 기업가의 의견을 직접 조사하여 이를 지수화 한 것입니다.
2. 소비자동향지수 (CSI)
소비자동향지수는 소비자의 소비지출 계획 및 경기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으로 1946년 미국 미시간대학교에서 최초로 작성하였습니다.
그 이후, 세계 각국에서 소비자동향지수를 편제하여 공표하고 있습니다.
3. 경제심리지표의 특성
심리지표는 실물지표와 전반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나 일부 시점에서는 심리지표와 실물지표 간에 다소 괴리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는 양 지표 간의 미래 정보 및 기대 수준의 반영 여부, 질적 통계와 양적 통계 간의 조사 척도 차이, 조사 결과의 가중치 반영 차이, 경제의 불확실성 증대 및 언론의 보도태도 등 여러 가지 요인에 기인하고 있습니다.
경기의 정점과 저점 부근에는 신규 수주 등 계수 통계에는 잡히지 않는 미래에 대한 정보가 심리지표에 반영되어 대체로 경기에 비해 선행하여 움직이는 특성을 보이지만, 실물지표가 개선되더라도 기대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심리지표는 곧바로 회복되지 않고 다소 후행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합니다.
반응형
'경제정보 > 돈 버는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콜금리 고정금리 변동금리의 개념과 차이점 (0) | 2021.11.09 |
---|---|
실물경제와 금융경제의 차이점 (0) | 2021.10.27 |
그레셤의 법칙의 개념 ( 악화는 양화를 구축한다 ) (0) | 2021.10.24 |
화폐의 개념과 여러가지 기능 (0) | 2021.10.20 |
실업의 뜻과 종류 및 필립스 곡선에 대하여 (0) | 2021.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