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정보/돈 버는 공부

실물경제와 금융경제의 차이점

반응형

<실물경제와 금융경제는 어떻게 다른가?>

 

경제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려면 특히 돈의 흐름을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합니다.

경제를 움직이는 중요한 매개체가 바로 돈이기 때문입니다.

 

 

1. 실물경제

 

실물경제란 실물과 돈이 함께 움직이는 경제분야입니다.

예를 들어 돈을 주고 필통을 산다고 하면 돈 자체에는 필통을 사용하고 싶은 사람의 욕망을 직접 채워 줄 수 없습니다.

하지만 필통은 사용하고 싶은 사람의 욕망을 직접 채워 줄 수 있습니다.

필통을 사용하고 싶은 사람은 돈을 내며 필통을 구입하게 됩니다.

이렇게 실물인 필통을 살 때에는 실물이 아닌 돈과 함께 움직입니다.

필통과 같이 눈에 보이고 손으로 만져지는 실물뿐만 아니라 학원 강의, 이삿짐 서비스 등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무형의 서비스 형태도 실물에 속하며 돈과 함께 움직이게 됩니다.

이렇게 실물재화와 돈과 같은 비실물재화가 서로의 대가로 오가며 함께 움직이는 경제분야를 실물경제라고 불립니다.

실물경제라는 용어는 금융경제와 비교되는 말로도 사용되지만 이론 경제와 비교시켜 현실 경제라는 뜻으로도 쓰입니다.

 

 

2. 금융경제

 

금융경제란 경제활동에 순전히 돈만 이동되는 경제분야입니다.

예를 들어 은행에 예금하거나 증권사에서 주식을 살 때는 돈만 움직이게 됩니다.

이런 경우, 돈이 움직이는 목적은 실물재화를 손에 넣은 대가를 치르기보다 예금이나 투자를 통하여 돈을 불리려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처럼 돈만 흐르는 경제 분야는 돈과 실물이 함께 오가는 실물경제와 구분해 화폐경제 또는 금융경제라고 불립니다.

 

 

3. 실물경제와 금융경제의 혼합

 

앞서 살펴보았듯이 이론상으로는 실물경제와 금융경제가 명확하게 구분이 되지만 현실에서는 명확하게 구분이 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은행이나 증권사는 기본적으로 금융경제 분야에서 활동을 하지만 고객에게 예금이나 투자에 관한 조언 등 실물 서비스를 제공하며 대가로 수수료를 받기도 합니다.

이럴 경우, 은행이나 증권사는 금융경제활동과 더불어 실물(서비스)에 관한 대가를 돈으로 지불받았으므로 실물경제도 같이 하는 셈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