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목GDP 실질GDP

경제변수 관련 정리 (유량변수 vs 저량변수 , 외생변수 vs 내생변수 , 명목변수 vs 실질변수) 및 피셔효과의 개념과 뜻 1. 유량변수 vs 저량변수 1) 유량변수 유량변수란 일정기간 명시해야 측청을 할 수 있는 변수를 말합니다, 즉 시간단위 당으로 측정할 수 있는 변수 입니다. ex) 통화량, 노동량, 환율, 자본량, 외환보유고 2) 저량변수 저량변수란 일정시점에서 측정을 할 수 있는 변수를 말합니다. ex) 국민소득, 국제수지, 소비, 투자, 수요, 공급 2. 외생변수 vs 내생변수 1) 외생변수 외생변수란 경제이론에서 사용되는 변수 중에서 그 값이 모형 외부에서 결정이 되는 변수 입니다. 2) 내생변수 내생변수란 외생변수의 값이 일정하게 주어지면 변수들 간의 상호관계에 의하여 그 값이 모형 내에서 결정되는 변수 입니다. 3. 명목변수 vs 실질변수 1) 명목변수 명목변수란 화폐단위로 측정되.. 더보기
경제용어 정리 (신용창조 , GDP , 실질GDP , 거래비용 , 게임이론 , 죄수의 딜레마) 1. 신용창조 신용창조란 은행이 고객의 예금을 대출해 증대시키는 과정을 뜻 합니다. 은행은 본원적 예금 (처음으로 받아들인 예금) 이 들어오면 일정비율의 지급준비금만을 남기고 나머지는 대출을 하는데 이 대출금이 또다시 예입되면 그에 대한 지급준비금만 남기고 또다시 대출을 하게 됩니다. 이처럼 은행이 대출 등을 통해서 최초 예금액의 몇 배 이상으로 예금통화를 창출하는 현상이 신용창조 입니다. 2. 국내총생산 ( GDP , Gross Domestic Product ) 국내총생산 (GDP) 란 국가의 생산 능력, 즉 일정 기간 (통상1년) 동안 얼마나 많은 상품을 생산했는지 나타내는 지표 입니다. GDP는 한 국가 안에서 생산되는 모든 최종생산물을 조사 대상으로 합니다. 생산되는 재화와 서비스 종류가 다양해서.. 더보기